여명 시의원 “코로나19 장기화, 고립·은둔형 청년 대폭 증가…맞춤형 지원 필요”
서울시 시행 중인 심리지원 프로그램에 모집 인원 2배 넘는 인원 몰려…은둔 당사자 현황파악 부재 및 전담인력 미비
은둔형 청년을 위한 맞춤형 지원’을 모색하는 토론회
2021-08-26 16:44:36 , 수정 : 2021-08-26 17:17:27 | 박정익 기자

 [티티엘뉴스] 여명 서울시의회 의원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사회에서 고립되거나 은둔하는 2030 청년들이 늘어나는 것을 지적하며 “지금부터라도 체계적인 지원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장기은둔을 경험하는 당사자들이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여명 시의원은 지난 25일 서울시의회 주최, 여명 시의원의 주관으로 서울시의회 의원회관 제2대회의실에서 ‘서울형 은둔형 외톨이 지원의 길을 찾다’ 토론회를 열었다. 코로나19 방역지침에 따라 무관중·유튜브 생중계로 진행한 토론회는 유승규 K2인터내셔널코리아 은둔고수 PM이 당사자 발언을 맡고, 오상빈 광주동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장, 정재훈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오오쿠사 미노루 K2인터내셔널코리아 교육팀장, 임성수 사회적협동조합 연결과이음 공동추진위원장, 김옥란 서울시 은둔형외톨이지원센터장, 이영미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 청년사업반장 등 다양한 전문가 및 활동가가 토론자로 참여했다.

서울시는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시행 중이지만 고립·은둔 청년 심리지원 사업에 당초 모집 인원의 2배가 넘는 인원이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에 대한 맞춤형 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으나 제대로 된 공론화가 되고 있지 않은 관계로 △당사자에 대한 법적 지원근거가 없음 △대상자의 상태를 가정의 문제로 치부하는 경향으로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음 △당사자 부모들 역시 은둔형외톨이의 상태에 대한 인식 부재로 자식의 정신적 문제라고 치부하며 상황을 악화시킴 △맞춤형 지원제도와 전담인력이 부실하다는 총체적 문제에 놓여 있다. 당연히 현황 및 실태 조사도 전무하다.

서울시의 경우 청년청(2019년 신설)이 미래청년기획단으로 승격돼 폭넓은 청년정책을 추진 중에 있으나 여명 의원실에 따르면 은둔형 청년 당사자를 대상으로 맞춤형 정책이 있는 것이 아닌 청년정책의 1/n 으로 다뤄지고 있는 현황이다.

한편 광주광역시는 2020년 7월부터 ‘광주광역시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를, 부산광역시는 2021년 7월부터 ‘부산광역시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를 시행 중에 있으나, 서울특별시에서는 아직까지도 은둔 당사자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대책조차 마련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유승규 은둔고수 PM은 은둔형 외톨이 당사자로서 지내왔던 경험을 나누며 당사자성의 정책 반영을 강조했다. 유 PM은 당사자에게 다양한 은둔의 원인이 있지만, 공통적으로 “문제를 털어놓기 어렵다”며 “안전한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거라는 기대와 이를 충족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영미 미래청년기획단 청년사업반장은 “실태조사를 토대로 대상 규모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특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힘쓰겠다”며 “은둔 경험이 있는 당사자를 전문가로 양성해 교육과 멘토링을 실시하고, 맞춤형 정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답했다.

이에 여명 시의원은 관련 조례를 제정해 △은둔형 청년에 대한 정의 △서울특별시장의 서울시 은둔형 청년을 위한 시책 마련 및 지원체계 수립의 의무 △5년마다 기본계획의 수립 △실태조사 및 지원사업 추진 △거점센터 마련 등의 내용을 담을 예정이다.

여명 시의원은 “은둔형 외톨이 문제는 MZ 세대의 문제와 직결된다고 생각한다. 코로나19의 장기화는 청년 시민들의 고립과 은둔 경험을 증폭시키는 악영향을 끼쳤으나, 이에 대한 실태파악조차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며 “서울시에서도 은둔형 청년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맞춤형 지원체계가 마련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박정익 기자 cnatkdnl@gmail.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