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중기 시의원, “공유형 전동킥보드 즉시견인 지양…주차질서 유도해야”
‘공유형 전동킥보드 발전 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 토론자로 나서
2021-11-23 18:32:35 , 수정 : 2021-11-23 18:50:40 | 편성희 기자

[티티엘뉴스] 국민의힘 성중기 서울시의회 의원은 23일 공유형 전동킥보드 문제와 관련해 공유형 전동킥보드로 발생하는 민원에 자체적으로 먼저 대응할 수 있도록 운영업체 간 통합콜센터를 조성할 것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성 시의원은 즉시견인 시행 전, 운영사 스스로 자정해 주차질서를 확립하고, 이를 통해 서울시 인력 및 예산 누수도 막을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 시의원은 이날 의회 별관 대회의실에서 개최된 공유형 전동킥보드 발전 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지정토론에 참여했다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소속인 성 시의원은 개인형 이동장치(PM)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사고와 불법 주정차 민원에 서울시가 미온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며 관련 대책 수립과 동시에 산업의 성장을 동반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촉구해 왔다.

성 시의원은 지정토론 모두발언에서 서울시의 자구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차질서가 확립되기보다는 견인업체의 배만 불리는 기이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과도한 견인조치로 이미 헬멧 착용 의무, 운전면허 필수 등의 규제로 매출이 급감한 공유형 전동킥보드 운영업체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민 보행 안전을 최우선으로 적정한 규제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나, 신고가 접수되자마자 즉시 견인 제도에 대해서는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서울시와 공유형 전동킥보드 운영업체가 협업을 통해 전용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동안 적립된 이동경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용과 반납이 많은 구역 위주로 선정해 이용자들이 정해진 주차공간에 전동킥보드를 반납하도록 질서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 시의원은 주차허용구역에만 전동킥보드 주차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도 주장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해 초광대역 무선통신 교정 장치인 UWB 앵커를 킥보드에 부착하면 불법 주정차구역에는 애초에 반납이 불가능하도록 조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성 시의원은 그러면서 궁극적으로 서울시가 즉시 견인에 대하여 최소한의 유예시간을 부여해 운영업체가 공유형 전동킥보드의 무단 방치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이용자 책임도 강화해 과도한 규제로 산업이 고사할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벗어나 상생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편성희 기자 psh4608@ttlnews.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