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감의 역사와 문화의 고장 ‘정읍’
열정·멋·향·맛·사랑의 흔적을 찾아 떠나는 시간 여행...
2019-04-03 19:52:18 , 수정 : 2019-04-03 22:24:09 | 이상인 선임기자

[티티엘뉴스] “색과 자연이 아름다운 정읍 구경 오세요”

 



▲2019년 정읍방문의 해를 맞이해 정읍에서 즐길 모든 것
 

 

정읍은 뜨겁다. 정읍을 대표하는 내장산의 붉은 단풍이 그렇고, 그곳에서 마지막 남은 조선의 역사를 지키기 위한 열정이 그랬다. 125년 전 부안에서 일어섰던 민초들의 저항은 뜨거움을 넘어 불타올랐고, 지금은 미래를 준비하는 첨단과학이 빛나고 있다.  


 


▲뜨거운 열정과 멋과 향을 지닌 정읍의 관광 명소들 
 

 

정읍에는 멋과 향이 넘친다. 200년을 지켜 온 전통 한옥의 아름다운 멋이 발하며, 온 천지를 휘감는 연꽃향이 넘치고, 전통을 이어가는 쌍화차의 진한 향이 발걸음을 유혹한다.  
 

행상 나간 남편의 무사귀환을 기원하다 망부석이 됐다는 유일한 백제 가요 정읍사에 얽힌 지고지순한 부부사랑 이야기는 현재도 귀감이 되며, 도심 속에서도 오염되지 않은 정읍천에는 봄의 전령 벚꽃이 바람에 휘날리며 장관을 이룬다.  
 

 
▲유진섭 정읍시장과 시도 관광 관계자들이 2019년 정읍방문의 해 기념 수도권 여행기자단과 함께 성공적인 팸투어을 위해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역사와 문화의 고장 정읍이 ‘2019년 정읍방문의 해 기념 여행기자단 팸투어’를 통해 정읍의 뜨거운 열기와 멋과 향, 지고지순한 사랑의 숨은 속살을 드러내기 위해 문을 활짝 열어젖혔다.  

 

#4계절이 아름다운 내장산(內藏山)(정읍 제1경)

정읍을 대표하는 아름다운 경관이라면 정읍 9경 중 제1경인 내장산이다. 원래 영은산으로 불렸으나 “산 안에 감춰진 것이 무궁무진하다”란 뜻을 담은 안 내(內), 감출 장(藏), 즉, 내장산으로 불리게 된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내장산 연자대에서 바라 본 벽련암과 서래봉의 모습 
 

예로부터 호남의 금강산으로 불리는 호남 5대 명산 중 하나며, 조선 8경에 속했다.  
 


▲내장산 연자대의 모습 

1971년 내장산과 백암산, 입암산을 통틀어 내장산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총 면적은 80.71㎢. 전북 정읍시와 순창군, 전남 장성군을 아우르며 월영봉(月迎峰. 427m), 서래봉(西來峰. 624m), 불출봉(佛出峰. 622m), 망해봉(望海峰. 679m), 연지봉(蓮池峰. 670m), 까치봉(717m), 신선봉(神仙峰. 763m), 연자봉(燕子峰. 675m), 장군봉(將軍峰. 696m) 등으로 이뤄졌다.  
 

   

▲내장산국립공원의 대표적인 명소인 우화정의 모습. 연못 가운데 솟아있는 우화정은 마치 한폭의 그림을 연상케 한다

봄은 푸른 산록 사이로 팡팡 튀는 벚꽃으로 가득하고, 여름에는 푸른 녹음, 가을은 불타는 단풍, 겨울은 멋진 설경으로 내장산의 아름다운 사계를 만들어 낸다. 연간 100만 명 이상이 찾는 내장산에는 팽매바위, 신선문, 송이바위 등의 기암과 금선계곡(金仙溪谷), 원적계곡(圓寂溪谷)이 있다.


 


▲연자대까지 운행되고 있는 내장산 케블카의 모습 
 

도덕폭포와 금선폭포, 용굴, 은적암(터만 남음) 등과 함께 아름다운 풍광과 다양한 볼거리를 품고 있다. ▷정읍시 내장산로 936

 


#내장산에 얽힌 조선실록 이야기

내장산에는 조선왕조실록 보존터(전라북도 기념물 제129호 지정)가 있다. 이곳에 얽힌 역사는 아는 이 보다 모르는 이가 더 많은 듯하다. 조선의 역사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은 안전한 보존을 위해 4부를 만들어 춘추관, 충주, 전주, 성주 등 4곳의 사고(史庫)에 1부씩 나눠 보존했다.



▲조선왕조실록인 정조대왕실록의 모습 
 

1592년 (선조 25) 임진왜란 당시 전쟁으로 춘추관, 충주, 성주 3곳의 사고에 보관했던 실록은 모두 불에 타 소실됐고, 전주 사고에 보관됐던 실록만 유일하게 남았다. 1592년 6월 일본군이 금산까지 침입했다는 소식을 들은 전라도 태인의 선비 안의와 손홍록은 사재를 털어 실록보존에 나섰다. 무사와 의병을 동원해 전주 사고에 보관됐던 태조부터 명종까지 13대에 걸친 804권, 마차 50대 분량의 조선왕조실록 본기와 고려사기문, 조선태조 수기 등을 내장산 깊은 곳으로 옮겨 숨겼다. 실록본기와 고려사기문은 내장산 은봉암에, 조선 태조 수기는 내장산 용굴에 감췄고, 실록과 수기는 다시 바래암으로 옮겼다. 이듬해인 1593년 7월 조선왕조실록과 수기를 행궁으로 옮길 때 까지 379일 동안 번갈아 가며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냈다. 당시 64세의 안의와 56세의 손홍록은 지방의 하찮은 늙은 유생이었지만, 이들의 희생정신과 실록을 지켜야 된다는 사명감이 없었다면 조선시대 전반부의 역사는 영원히 사라질 뻔 했다. 


   

#동학농민혁명의 발생지, 정읍 

역사와 문화의 고장 정읍은 전봉준이 이끈 ‘동학농민혁명’의 발생지이다. 
 


▲동학농민혁명 당시 전투 모습의 부조

지난 2004년 3월 제정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해 2010년 2월 문화체육관광부 인가 특수법인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 출범했다. 이곳에서는 정읍의 정신이 살아 숨 쉬는 동학농민혁명을 기념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지난 2월 20일 국무회의에서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이 심의·의결됨에 따라 정읍의 황토현전승일이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로 재정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오는 황토현전승일이였던 오는 5월 11에는 국가기념일로 제정된 후 첫 기념식을 갖게 되며, 이에 맞춰 5월 10일과 11일 KBS에서 도올 김용옥 선생의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특강이 방영된다. 또한, 동학농민혁명을 주제로 한 SBS 사극 드라마 ‘녹두꽃 – 사람, 하늘이 되다’가 4월 26일부터 금·토요일에 전파를 타게 된다. 1894년 동학농민혁명 속에서 농민군과 토벌대로 갈라져 싸워야 했던 이복형제의 파란만장한 스토리를 담고 있는 작품으로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가 그 어느 때보다 높아 질 것으로 예상된다.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위한 반봉건 민족항쟁의 모든 것, 동학농민혁명 기념관 (정읍 제3경)

동학농민혁명은 민초들의 항거였다. 그 시발점은 정읍 고부의 동학접주 전봉준(全琫準)이 고부군수 조병갑(趙秉甲)의 지나친 폭정에 항거하기 위해 농민들과 함께 벌린 농민운동이었다. 1894년 1월 10일 전봉준은 정읍 고부면 말목장터 감나무 아래에서 농민들과 함께 조선 봉건사회의 부정, 부패 척결을 내걸고 반봉건 항쟁에 나섰다. 
 


▲동학농민혁명 기념관의 모습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에 세워진 동학농민혁명 기념관은 외세의 국권침탈에 맞서 보국안민을 이루고자 했던 민족항쟁인 동학농민혁명을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설명하고 있는 역사교육헌장이기도 하다. 
 


▲동학농민혁명 기념관 1층에 있는 특별 전시관. 4월 28일까지 '3.1만세로 이어진 동학농민의 함성'이란 이벤트를 하고 있다

고부민란으로부터 1년여에 걸쳐 전개됐던 동학농민운동은 미완의 혁명으로 막을 내렸지만, 여기에 참가한 동학농민군은 뒤에 항일의병항쟁의 중심세력이 됐고, 그 맥락은 3·1독립운동으로 계승됐으며, 4·19혁명, 5·18광주민주화운동의 근간이 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동학농민혁명 기념관 1층 입구에 서있는 혁명의 최초 발원지였더 말목장터에 있던 감나무. 2003년 태풍 매미로 인해 쓰러져 이곳으로 옮겨와 보존하고 있다


기념관 1층 입구에 들어서면 한 그루의 나무가 우뚝 서 있다. 높이 14.5m, 수령 180년 된 이 나무는 동학농민혁명의 최초 발원지에 있던 감나무(전북 기념물 제110호)다. 동학농민혁명 시발점이 된 고부 봉기 때 말목장터에 모인 1천여 명의 배들평 농민들에게 당시 고부군수 조병갑의 횡포를 설명하고 농민 봉기의 필요성을 역설했던 전봉준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들어던 나무다. 2003년 여름 태풍으로 쓰러져 이곳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동학농민혁명 기념관 1층에 있는 기억의 방. 사방이 거울로 되어 있어 착시현상을 경험하게 된다


1층 전면에는 ‘기억의 방’으로 명명된 특이한 방이 있다. 허리를 굽혀 내부로 들어가면 사방이 거울로 둘러져 있고, 작은 전구들이 비추고 있다. 몇 명만 들어가도 사람들로 꽉 차 보이고, 많은 불빛이 비추는 것 같은 착시현상을 경험하게 된다. 문화관광해설사 설명에 따르면, 전등 불빛은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했던 농민군의 영혼을 상징하며, 사람들의 모습은 당시의 수많은 백성들이 염원했던 동학혁명의 정신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라고 한다.
 

 
▲동학농민혁명을 대표하는 전봉준 선생이 체포되어 압송되는 모습의 사진

이곳에서 전봉준 선생을 사진으로 직접 만나볼 수 있다. 거사 후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되어 가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으로 전봉준 선생의 살아있는 눈빛과 의연하고 당당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이외에도 당시 조선 시장의 입체 모형 등이 전시되어 있다.  
 


▲동학농민혁명 기념관에 보존되어 있는 사발통문

2층에는 동학농민혁명 때 사용됐던 다양한 물건들이 전시되어 있다. 고부 봉기를 계획한 농민군의 통문으로 사발 아구리 모양을 중심으로 서명자 20명이 둥글게 서명해 주모자를 알 수 없게 한 것이 특별하다.
 


▲동학농민혁명군이 전투에 나선 모습의 그림과 농민군의 모형

또한, 폐정개혁안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일종의 자치기구인 집강소 모형, 동학농민군과 전라감영군이 격돌하여 최초로 농민군이 크게 승리한 황토연 전투 장면 모형, 폐정개혁안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일종의 자치 기구였던 집강소 모형, 혁명 참가자의 구분과 성분조사서인 유회성책, 농민군 최초 승리한 황토현 전투에서 사용했던 소포, 농민혁명군의 복장, 수많은 농민군이 희생된 우금치 전투 모습,
 


▲녹두장군 전봉준 선생이 일본군에 체포되어 심문을 받고 있는 모습을 재현해 놓았다 
 

심문받는 전봉준의 모형 등과 동학농민혁명에 관련된 무기, 생활용품, 기록물 등을 전시, 보존하고 있어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상황을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설명해 놓았다. 이외에도 석남역사, 순교약력, 양호전기, 홍계훈 유서, 홍선대원군 효유문, 소모사실, 종리원사부동학사, 춘당록 등의 귀중한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 
 


▲동학농민혁명 기념관에 마련된 어린이 전시실. 동학농민혁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기념관에는 평등과 자주를 꿈꾸었던 동학농민혁명을 놀이와 체험 등으로 쉽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어린이 전시실과 녹두학당이 자리하고 있다. 이외에 동학농민군 캐릭터를 만들 수 있는 내 친구 녹두장군, 상설 관람 및 체험 시설인 GO, GO 1894, 1894년으로 가는 타임머신, 찾아가는 기념관 등의 주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모형으로 만들어 전시된 농학농민혁명 당시 생활상


동학농민군이 전주감영에서 파견한 관군을 크게 이긴 최초의 전승지인 황토현전적지에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및 희생자 추모시설, 연수시설, 체험시설 등 국가기념 공원을 갖추게 된다.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이 2017년 문화재청의 등재대상으로 선정됐으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위치 :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관람시간 : 09:00~18:00/입장시간 09:00~17:00(매주 월요일, 1월1일 휴관) ▷관람료 : 무료 ▷예약신청은 관람 희망일 5일 전까지 가능 

 


#최치원 선생의 치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 무성서원(武城書院)과 상춘공원(정읍 제4경)

무성서원은 신라 말 유학자 고운(孤雲) 최치원(최치원) 선생이 태산태수(泰山太守)로 재임 중 쌓은 치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무성서원의 모습 
 

이 서원은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은 전국 47개 서원 중 전라북도 유일의 서원으로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이곳은 일사능약이 체결된 이듬해인 1906년 면암 최익현과 둔헌 임병찬이 일제침략에 항거하기 위해 호남의 병을 창의한 역사적인 현장이기도 하다. 

 


 


▲무성서원의 정문인 현가루

무성서원에는 사당인 태산사와 강당, 강수재, 외삼문인 현가루, 내삼문, 고직사 등과 주변에 각종 비석과 비각이 놓여 있다. 무성서원은 서원의 일반적인 입지조건과 달리 매우 이례적으로 마을 중심부에 자리하고 있는 특별함이 있다.  
 


▲무성서원 강당에서 사우로 들어가는 내삼문(태극 문양)이 보인다
 

무성서원 뒤편에 조성된 상춘공원은 가사문학의 효시인 상춘곡의 문화적 고취를 고양하기 위해 조성된 공원이다. 성황산 정상에 설치한 상춘대는 불우헌(不憂軒) 정극인(丁克仁) 선생의 문학적 감각에 대한 사상을 회상하는 장소로 유명하다.

▷국가사적 제166호 ▷정읍시 칠보면 원촌 1길 44-12(무성리 500)
 


#태산선비문화사료관/불우헌 정극인 선생 상춘곡비

태산선비문화사료관은 1998년 11월에 건립됐다. 부지면적은 2,512m², 건물면적은 205m²로 1층 규모의 작은 전시관이며 전시실·수장고·사무실·시청각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태산선비문화사료관과 현판의 모습
 

정읍시 북면·칠보면·태인면·옹동면·산내면·산외면을 ‘태산선비문화권’이라 하는데 이 지역은 신라시대 때 태산(泰山)이라 불렸던 곳으로, 선비정신을 담고 있는 문화유적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통일신라 말기에 유학자 고운 최치원이 태산군수로 부임한 이래 선비기질의 유풍이 계승되어 조선시대에 정극인, 송세림, 김약묵, 신잠, 이항 등의 유학적 선비인맥이 형성됐다.  
 


▲태산선비문화사료관 좌측에 위치한 불우헌 정극인 선생의 동상
 

태산선비문화사료관에는 고헌향약과 무성서원을 비롯한 31종의 자료를 한데 모아 편리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전시하고 있다. 칠보는 산자수명하며 아름다운 풍경은 고현팔경과 가사 문학의 효시인 상춘곡을 낳았다. 법도 있는 이 고장의 예풍은 고현향약을 탄생시켰다. ▷정읍시 칠보면 원촌 1길 12-3
 


▲불우헌 정극인 선생의 상춘곡비 모습
 

상춘곡은 조선 성종 때 불우헌 정극인 선생이 고향의 봄 경치를 읊은 내용으로 가사문학 작품의 효시라 일컬어지며 불우헌집(不憂軒集)에 실려 전한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상춘곡비가 있는 곳이다.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원촌마을 

 


#연꽃향이 가득한 호남 제일의 정자, 피향전(披香亭)(정읍 제6경)

연못에 핀 연꽃의 향기가 주위에 가득하다는 뜻의 ‘피향정’은 호남 제일의 정자로 잘 알려져 있다. 연꽃이 만개하는 7~9월 피향전에는 연꽃향이 진동을 한다.
 


▲피향전 모습 
 

은은하게 풍기는 연꽃 향에 쌓인 피향전은 그 명성답게 관광객들에게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신라 말 태산 군수로 부임한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은 이곳 연못가를 거닐며 풍월을 읊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가까이서 바라 본 피향전 모습

정자의 창건 연대는 정확하지 않다. 정면 5칸, 측면 4칸의 현재 건물은 1716년 태인현감이 재건축한 것. 팔작지붕이며, 내부는 마루를 깔았고, 앞뒤 돌계단을 통해 오르내릴 수 있다. 마루 아래는 28개의 원형 돌기둥이 받치고 그 위에 두리기둥을 세웠다. 사면은 개방됐으며, 퇴를 돌려 난간을 설치했다.  
 


▲피향전 우측 담장 밑에 관찰사, 태인현감 등의 공적비들을 모아 놓았다


원래 정자 앞뒤로 상연지(上蓮池)와 하연지(下蓮池)가 있어 정자 주위로 물이 흐르는 아름다운 경관을 이뤘는데 상연지는 일제강점기 때 메워지고 현재는 정자 전면에 있는 하연지만 남아 있다. 피향정 우측 담장 밑에는 관찰사, 태인현감 등의 공적비가 일렬로 서 있다. 이중에는 동학농민혁명의 원흉 고부군수 조병갑이 태인 현감을 지낸 그의 부친 조규순을 위해 세운 영세불망비가 이곳에 있어 보는 이들로 하여금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피향전 전면에 위치한 하연지에 있는 함벽루라는 정자의 모습

피향정 맞은편 하연지 옆으로 함벽루(涵碧樓)라는 정자가 있다. 1918년 건립되어 사정(射亭)으로 사용해 왔으나 노후하여 철거되고, 2009년 원형대로 재건축됐다. 연꽃과 향을 더욱 강하게 느끼기 위해 하연지에 세운 것 같다.▷보물 제289호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 102-2번지 소재.

 


#전통차의 깊은 맛이 모인 전설의 쌍화차 거리(정읍 제8경)

정읍의 차 문화는 세종실록지리지와 신동국여지승람 등 옛 문헌에 기록되어 전해 올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정읍시 전설의 쌍화차 거리를 알리는 입간판 
 

정읍 스타일의 쌍화차는 숙지황, 생강, 대추 등 총 20여 가지의 엄선된 특등품의 약재를 달여서 밤, 은행, 잣 등의 고명을 넣고 정성을 다해 만들어진 보약이다. 
 


▲정읍시 장명동, 수성동 일대에 자생적으로 형성된 전설의 쌍화차 거리 모습 


쌍화차를 주 메뉴로 하는 전통찻집이 새암로를 따라 자생적으로 형성되어 오다 쌍화차가 건강식으로 인기를 끌기 시작하면서 장명동 주민센터 인근에 점진적으로 확대됐고, 시로부터 쌍화차 거리로 인정받게 됐다. 쌍화차 거리에 접어 들면 진한 쌍화차 냄새가 은은하게 관광객들을 맞이한다.


▲쌍화차 거리에서 판매되는 전통 쌍화탕의 모습  

▷정읍시, 수성동 일원. 
 

 


#국가에서 세운 지방 향교, 태인향교(泰仁鄕校)

국가에서 각 지방에 세운 향교 가운데 하나인 태인향교는 1421년(세종 3년) 태인현감 안기(安起)가 창건한 소설위 향교다. 특징은 다른 향교와 달리 정문으로 외삼문 대신 만화루(萬化樓)(유형문화재 제121호)가 세워진 것.
 


▲태인향교의 정문인 만화루의 모습 
 

만화루는 ‘공자지도 만물화생(公子之道 萬物化生)에서 따온 것으로 태인향교의 정문이다. 왕비나 정승 등 높은 사람이 출생한 고을에 건립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태인에는 단종 왕비 정순왕후(定順王后)가 지금의 칠보면 시산리에서 출생한 것과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 씨가 태인 태생이라 세워진 것으로 예측된다. 만화루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출입문 두 곳으로 나누어 낸 것과 넓은 계단이 특징이다. 만화루의 건립연대는 정확하지 않다. 현판은 1794년(정조 18년) 태인현감 조항진(趙恒鎭)의 글씨다. 
 


▲태인향교의 모습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시대에는 향교에 공자를 모신 사당을 두고 유학을 정리했다. 대성전(大成殿.문화재자료 제75호)에는 공자를 중심으로 동, 서쪽으로 맹자 등 4성, 주자 등 송조 4현을 함께 모시며, 신라시대 최치원을 비롯한 우리나라 유학자 18명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매달 음력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하며 매년 음력 2월과 8월 초정일(初丁日)에 제례를 지낸다. 

 


#200년을 지켜 온 전통 한옥의 백미, 김명관 고택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99칸의 상류층 전통한옥이다. 김동수의 6대조인 김명관이 조선 정조 8년 1784년에 건립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99칸의 상류층 전통한옥인 김명관 고택의 모습 
 

구조는 안채, 사랑채, 사당, 바깥행랑채, 안행랑채, 별당, 전면·후면의 노비집, 바깥변소, 우물 등으로 되어 있다. 창하산과 동진강 상류를 끼고 있는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터전으로 풍수지리에 잘 맞춰 지어졌다.  
 

 
▲김명관 고택의 모습


행랑채의 솟을 대문을 들어서면 아담하게 조화를 이룬 행랑마당과 바깥행랑채가 보인다. 바깥행랑의 동남쪽에 있는 문을 들어서면 사랑채와 문간책이 있다. 사랑채 서쪽으로 ㄷ자 평면을 가진 안채가 있는데 좌우 대칭을 이루며 좌우 전면의 돌출 부분에 부엌을 배치한 특이한 평면을 갖추고 있다. 안채 동북쪽에는 작은 사당이 있고, 집 주위에는 8채의 호지집(노비집)이 있었으나 지금은 2채만 남아 있다. 
 


▲김명관 고택의 아름다운 정원 모습 


김명관 고택은 건립자의 독창성을 엿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지금까지 개조되지 않고 거의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어 조선시대 양반들의 생활양식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민속자료가 되고 있다. 4월에 방영될 SBS 사극 ‘녹두꽃’이 이곳에서 촬영됐다. 사진작가가 아니라도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사진촬영 장소로 유명세를 타고 있다.



▲김명관 고택에 있는 장독대가 더욱 아름답게 보인다
 

▷국가 중요민속자료 제26호 ▷정읍시 산외면 공동길 66(오공리 814)

 

 

▶취재협조 : 정읍시. 전라북도 관광마케팅 종합지원센터

 

 

정읍 = 이상인 선임기자 lagolftime@ttlnews.com

관련기사